국세조사 온라인은 총무성 통계국이 운용하는 2025년(레이와 7년) 국세조사의 인터넷 회답 창구입니다. 인터넷 회답 접수 기간 중에는 24시간 언제든 원하시는 시간에 회답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본 시스템의 점검이 필요한 경우는 국세조사 온라인 등을 통해 알려드립니다.
국세조사 온라인은 다음의 환경에서의 이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아래 표 이외의 환경에서 접속하실 경우 ‘죄송합니다. 현재 사용 중인 환경에서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라고 표시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및 태블릿]
OS | 브라우저 | |||
---|---|---|---|---|
Safari | Google Chrome |
|||
16 이상 | 123 이상 | |||
Android 12 이상 |
- | ○ | ||
iOS 16 이상 |
○ | - | ||
iPadOS 16 이상 |
○ | - |
[컴퓨터]
OS | 브라우저 | |||
---|---|---|---|---|
Google Chrome |
Safari | Microsoft Edge (※) |
Mozilla Firefox |
|
123 이상 | 16 이상 | 123 이상 | 124 이상 | |
Windows 10 이상 |
○ | - | ○ | ○ |
macOS 13 이상 |
○ | ○ | ○ | ○ |
Internet Explorer (IE) 모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권장 통신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세조사에서는 평소 거주하고 있는 모든 사람에 대해 설문을 실시합니다.
입력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회답을 전송할 수 없으므로 빠짐없이 입력하십시오.
다음은 국세조사 온라인의 주요 화면과 그 흐름을 설명합니다.
국세조사 온라인을 이용할 때 처음에 표시되는 화면입니다. [회답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 회답을 시작하십시오.
회답을 시작하기 위해
를 입력하는 화면입니다.
2가지 정보는 조사원이 각 세대에 배포한 ‘조사 서류 수납 봉투’에 수납되어 있는 “인터넷 회답 의뢰서”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2가지 정보를 정확히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누르십시오.
(로그인 ID 입력 화면)
(접속키 입력 화면)
회답 입력을 시작하기 전에 주의점 등을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입력 시작하기] 버튼을 누르면 회답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조사 항목에 회답을 입력하는 화면입니다.
조사 항목별로 세대 전원분을 입력하는 형식입니다. 한 개 조사 항목의 입력이 끝나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회답을 전송하기 전에 '입력 내용 확인' 화면이 표시됩니다.
회답은 인터넷 회답 접수 기간 중 24시간 언제든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 화면에서 전화번호 및 주소를 입력합니다. 전화번호는 회답 내용에 대해 문의할 때 등에 이용합니다. 주소는 집계에 사용하는 조사 구역의 확인 등에 이용합니다.
입력하신 전화번호 및 주소는 회답 데이터와 동일하게 엄중히 관리하며, 국세조사 관련 용도 이외에는 일절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필요 기간이 종료된 후에는 신속히 삭제합니다.
입력 내용을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회답을 전송하는 화면입니다.
회답을 전송하기 전에 직접 비밀번호를 설정하십시오.
비밀번호는 반각 영문자와 숫자를 모두 사용하여 8자 이상 32자 이내로 설정하십시오.
비밀번호에 사용할 수 있는 영문자는 대소문자 구분이 되며, 다음 25가지 기호 ( ) # $ - = ? @ [ ] _ ! " % & ' * + , . / : ; < > 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회답을 전송하는 화면입니다.
접수 결과를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이메일 주소를 등록하고자 할 경우 [이메일 주소 등록] 버튼을 누르면 이메일 주소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메일 주소의 등록이 완료된 경우는 버튼명이 [이메일 주소 변경]으로 변경되며, 누르면 등록한 이메일 주소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입력 내용을 인쇄하려면 화면 내의 [회답 내용 인쇄하기] 버튼을 누르면 인쇄할 수 있습니다.
인쇄물의 관리에는 충분히 주의하십시오.
회답 상황을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회답을 전송한 후 다시 로그인했을 때 표시되는 화면이며, 미회답일 경우에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회답이 정상적으로 접수된 경우 로그인 ID와 회답 일시 및 지난 번 로그인 일시가 표시됩니다.
[회답 데이터 수정하기] 버튼을 누르면 설문 화면이 표시되고, 회답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비밀번호 변경] 버튼을 누르면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를 잊어버린 경우에 비밀번호를 재설정할 수 있도록 이메일 주소를 등록하는 화면입니다.
'국세조사 회답 완료' 화면 및 '회답 상황 확인' 화면의 [이메일 주소 등록] 버튼을 누르면 이메일 주소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를 입력한 후 [인증 코드 전송하기] 버튼을 누르면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인증 코드가 기재된 이메일이 전송됩니다.
입력하신 이메일 주소는 회답 데이터와 동일하게 엄중히 관리하며, 국세조사 관련 용도 이외에는 일체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필요 기간이 종료된 후에는 신속히 삭제합니다.
이메일에 기재된 인증 코드를 입력한 후 [등록하기] 버튼을 누르면 이메일 주소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등록한 이메일 주소를 변경하는 화면입니다.
'국세조사 회답 완료' 화면 및 '회답 상황 확인' 화면의 [이메일 주소 변경] 버튼을 누르면 이메일 주소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변경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한 후 [인증 코드 전송하기] 버튼을 누르면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인증 코드가 기재된 이메일이 전송됩니다.
입력하신 이메일 주소는 회답 데이터와 동일하게 엄중히 관리하며, 국세조사 관련 용도 이외에는 일체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필요 기간이 종료된 후에는 신속히 삭제합니다.
이메일에 기재된 인증 코드를 입력한 후 [변경하기] 버튼을 누르면 이메일 주소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설정한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화면입니다.
'회답 상황 확인' 화면의 [비밀번호 변경] 버튼을 누르면 비밀번호 변경이 가능합니다.
[비밀번호 변경하기] 버튼을 누르면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음 번 로그인할 때는 변경한 비밀번호로 로그인하십시오.
설정한 비밀번호를 잊어버린 경우에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는 화면입니다.
‘비밀번호 입력' 화면의 '비밀번호를 잊으신 경우 여기를 클릭하세요'에서 비밀번호를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등록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한 후 [인증 코드 전송하기] 버튼을 누르면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인증 코드가 기재된 이메일이 전송됩니다.
이메일에 기재된 인증 코드를 입력한 후 [인증] 버튼을 누르십시오.
인증한 후 재설정할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비밀번호 재설정하기] 버튼을 누르면 비밀번호를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국세조사 온라인의 [회답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 로그인 화면을 표시한 후, “인터넷 회답 의뢰서”에 기재된 로그인 ID와 접속키를 입력하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회답 의뢰서”는 9월 하순에 조사원이 배포하는 조사 서류에 동봉되어 있습니다.
※로그인용 QR 코드로 접속한 경우는 로그인 ID 및 접속키가 자동 입력되므로 입력은 불필요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도움말’의 ‘회답 흐름’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확인하십시오.
사용하시는 단말기의 종류나 설정, 액세스한 QR코드 읽기 앱이나 SNS 앱등에 따라서는 '죄송합니다. 현재 사용 중인 환경에서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번거로우시겠지만, 이용 환경에 명시된 환경를 이용하여 다시 국세조사 온라인에 접속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용 환경은 ‘도움말’의 ‘이 사이트에 대하여’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확인하십시오.
로그인 ID(접속키는 모두 반각에 영문자는 소문자로 입력해야 하므로 잘못 입력하지 않았는지 다시 확인하십시오. 특히 스마트폰에서는 전각과 반각의 차이에 주의하십시오.
또한, 일정 횟수 연속해서 로그인에 실패하면 약 10분간 로그인이 제한됩니다. 그 경우에는 잠시 시간을 두고 다시 시도해 주세요.
로그인 ID를 입력한 후, [다음] 버튼을 누르면 접속키를 입력하는 칸이 표시됩니다.
또한, 회답 전송 후에 다시 로그인할 때는 접속키를 입력하는 칸이 표시되지 않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칸이 표시됩니다.
배포된 서류에 “인터넷 회답 의뢰서”를 동봉했습니다. “인터넷 회답 의뢰서”가 동봉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번거로우시겠지만 거주하시는 시구정촌에 문의하십시오.
또한, “인터넷 회답 의뢰서”를 분실하신 경우에는 재발행이 불가능하므로 종이 조사표로 회답하십시오.
입력 누락 등의 에러가 있으면 화면을 이동할 수 없습니다. 화면에 표시된 빨간색 에러 메시지를 확인하고 회답 내용을 수정한 후, 다시 시도하십시오.
또한, 에러 메시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는 이용 환경이나 다른 소프트웨어 등과의 관계에서 오류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죄송합니다만, 다른 브라우저나 단말기에서 이용하거나 종이 조사표로 제출하십시오.
자택에 남아 있는 가족 중 한 명을 세대주 또는 대표자로 하고, 다른 세대원은 그 세대주 또는 대표자의 입장에서 본 관계를 선택하십시오.
문항의 회답 내용에 따라서는 이후의 문항이 불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회답이 필요한 문항 또는 세대원만 화면에 표시됩니다.
또한, 이전 문항에 잘못 회답하여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전 문항으로 돌아가 수정하십시오. 수정 후에 표시됩니다.
“인터넷 회답 의뢰서”에 기재된 '로그인 ID'와 회답 전송 시 본인이 설정한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다시 로그인하면 회답 내용을 확인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는 8자 이상 32자 이내, 반각 영문자와 반각 숫자를 모두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로그인 ID와 동일한 문자열을 비밀번호로 설정할 수 없으므로 주의하십시오.
비밀번호는 보안을 철저히 보장하기 위해 설정한 본인 이외에는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또한, 이메일 주소를 등록한 경우는 비밀번호를 잊어버린 경우라도 비밀번호 입력 화면의 '비밀번호를 잊으신 경우 여기를 클릭하세요'에서 비밀번호를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를 등록하지 않았고 회답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번거로우시겠지만,종이 조사표에 기입해 주시고, 우편 제출 또는 조사원한테 제출을 부탁드려요.
비밀번호는 다시 로그인했을 때 표시되는 화면의 [비밀번호 변경] 버튼을 누르면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도움말’의 ‘회답 흐름’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확인하십시오.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 도움말 화면은 회답 입력 화면과 다른 탭(또는 창)에 표시되므로 회답 입력 화면 탭을 선택하면 회답 입력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 도움말 화면의 오른쪽 상단에 표시되는 [×] 버튼을 누르면 회답 입력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한 세대당 최대 19명의 세대원에 대해 회답할 수 있습니다.
19명을 초과하는 경우는 죄송합니다만, 종이 조사표로 회답하셔야 합니다. 조사표가 부족한 경우에는 시구정촌으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회답 의뢰서" 한 장당 한 세대가 회답하셔야 합니다.
조사 서류의 추가 배포에 대해서는 번거로우시겠지만, 거주하시는 시구정촌에 문의하십시오.
한 세대에 “인터넷 회답 의뢰서”가 2통 배포된 경우는 어느 한 쪽의 “인터넷 회답 의뢰서”를 사용하여 회답하십시오. 그리고 번거로우시더라도 거주하시는 시구정촌에 한 세대라는 사실을 연락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두 세대에 “인터넷 회답 의뢰서”가 2통 배포된 경우는 세대별로 각각 다른 “인터넷 회답 의뢰서”를 사용하여 회답하십시오. 그리고 ID는 어느 쪽을 사용하셔도 문제는 없습니다.
주민표 등의 신고와 관계없이 10월 1일(수) 시점에 3개월 이상 입원하고 있는 사람은 병원에서 조사가 진행되므로 세대원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세대주가 3개월 이상 입원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택에 남아 있는 가족 중 한 명을 ‘세대주 또는 대표자’로 합니다.
또한, 10월 1일(수) 시점에 입원 기간이 3개월 미만인 사람은 자택의 세대원에 포함됩니다.
주민표 등의 신고와 관계없이 10월 1일(수) 시점에 3개월 이상 자택을 떠나 있는 사람 또는 3개월 미만이어도 3개월 이상 자택을 떠나 있기로 예정된 사람은 자택 이외의 장소에서 조사가 진행되므로 세대원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한편 10월 1일(수) 시점에 3개월 미만인 사람 또는 3개월 이상 자택을 떠나 있을지 미정인 사람은 세대원에 포함됩니다.
또한, 세대주가 3개월 이상 자택을 떠나 있는 경우에는 자택에 남아 있는 가족 중 한 명을 ‘세대주 또는 대표자’로 합니다.
주민표 등의 신고와 관계없이 10월 1일(수) 시점에 자택을 떠나 3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사람 또는 3개월 이상 거주하기로 예정된 사람은 그 장소에서 다른 세대로서 회답해야 합니다.
단, 3개월 미만의 일시적인 거주일 경우는 자택의 세대에 포함되므로 회답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 경우에는 번거로우시겠지만, 시구정촌에 연락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주민표 등의 신고와 관계없이 평소에 거주하고 있는 장소 한 곳에서만 회답하시면 됩니다. 평소에 거주하지 않는 장소에 조사 서류가 도착한 경우, 시구정촌에 연락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이 경우에는 이사를 간 곳에서 조사를 진행합니다. 조사 서류가 배포된 (이전 주소지) 시구정촌에 이사 사실을 연락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인터넷 통신은 SSL/TLS 방식으로 암호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답 데이터는 암호화한 후 최신 부정 침입 방지 장치의 설치나 24시간 감시 체제 등의 대책을 마련하여 엄격히 관리하고 있으므로 안심하셔도 됩니다.
국세조사 온라인(이하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국세조사에 회답하려면 아래의 이용 규약의 모든 조항에 동의하셔야 합니다.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분은 아래의 이용 규약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기
제1조본 이용 규약의 목적은 총무성이 운영하는 본 시스템의 이용에 관해 본 시스템 이용자의 동의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이다.
제2조본 이용 규약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제3조시스템 이용자는 본 이용 규약에 동의한 후, 본인의 책임과 판단에 근거하여 화면의 지시에 따라 이 시스템을 이용한다.
2시스템 이용자가 본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기(소프트웨어 및 통신 수단과 관련된 것을 포함) , 통신 비용 및 기타 본 시스템의 이용과 관련된 모든 비용은 시스템 이용자가 부담한다.
제4조본 시스템에서는 통계조사의 회답 외에 다음 (1)~(3)의 동작을 통해 정보 등을 취득한다.
제5조본 시스템이 시스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든 프로그램 및 기타 저작물에 관한 저작권 등의 지적소유권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총무성에 귀속된다.
2시스템 이용자는 본 시스템을 이용할 때 본 시스템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 또는 기타 저작물을 다음의 각호에 따라 취급한다.
제6조본 시스템의 이용 시간은 원칙적으로 국세조사의 인터넷 회답 접수 기간 중 매일 24시간으로 한다.
2총무성은 본 시스템의 이용이 두드러지게 집중된 경우 시스템 이용자에 대해 본 시스템의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3총무성은 다음의 각호 중 하나에 해당된다고 인정되는 경우 본 시스템의 이용을 정지, 중지 또는 중단할 수 있다.
제7조시스템 이용자는 본 시스템의 이용에 있어 다음의 각호에 언급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
2총무성은 시스템 이용자가 전항의 각호에서 언급하는 행위를 한 경우 또는 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사전에 통고하는 일 없이 해당 시스템 이용자에 의한 본 시스템의 이용을 정지 또는 제한할 수 있다.
제8조총무성은 시스템 이용자가 본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발생한 시스템 이용자의 손해 및 시스템 이용자가 제삼자에게 끼친 손해에 대해 총무성의 고의 또는 중과실에 의한 것인 경우를 제외하고 책임을 지지 않는다.
2총무성은 제8조 제1항의 규정에 관계없이, 총무성과 이용자 사이의 법률 관계가 소비자계약법에서 규정하는 소비자 계약에 해당하는 경우, 총무성의 과실(중과실은 제외) 에 기인하여 발생한 손해에 대해 이용자 본인 또는 제삼자에게 현실적으로 발생한 통상적이고 직접적인 범위 내의 손해에 한해 손해 배상 책임을 진다.
제9조총무성은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본 이용 규약을 개정할 수 있다.
2총무성은 본 이용 규약을 개정하려는 경우, 긴급한 경우를 제외하고 개정 효력 발생일의 7일 전까지 이 시스템에서 본 이용 규약을 개정한다는 사실 및 개정 후의 본 이용 규약의 내용, 그리고 그 효력 발생 시기를 게재하여 공표한다.
3본 이용 규약의 개정 후에 이용자가 본 시스템을 이용할 때 이용자는 개정 후의 이용 규약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된다.
제10조본 이용 규약에는 일본법이 적용된다.
제11조본 이용 규약에 규정되지 않은 사항 및 기타 이용 규약의 조항에 관해 의의가 생겼을 때는 총무성과 시스템 이용자가 협의한 후 원만한 해결에 힘쓴다.
본 이용 규약은레이와 7년(2025년) 9월 20일(토)부터 시행한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에서는 통신 중인 정보나 그 내용을 다른 악의를 지닌 제삼자가 엿볼 위험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국세조사 온라인에서는
등의 중요한 정보를 인터넷상에서 송수신할 때 타인에의 누출 등을 방지하고 안전한 통신을 목적으로 통신 경로상의 정보 송수신을 SSL / TLS에 의해 암호화하고 있습니다.
SSL / TLS를 이용한 인터넷상의 페이지는 주소가 ‘http://’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https://’로 시작되며, 자물쇠 마크가 표시됩니다.
▼Microsoft Edge의 예
SSL / TLS에 의한 암호화 통신은 다음과 같이 실현됩니다.
브라우저는 ‘서버 증명서’에 대해 다음의 내용을 확인합니다.
이용하는 브라우저에 따라 위 c.의 ‘신뢰할 수 있는 인증국에서 발행되었을 것’의 확인이 불가능하여 다음과 같은 경고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인은 ‘서버 증명서’를 발행하는 DigiCert사(인증국)의 본인 서명 증명서(본 시스템에서의 호칭은 ‘안전한 통신을 위한 증명서’) 가 브라우저에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Microsoft Edge를 이용하는 경우≫
≪Firefox를 이용하는 경우≫
≪Google Chrome를 이용하는 경우≫
≪Android(Google Chrome) 를 이용하는 경우≫
DigiCert사가 발행한 국세조사 온라인의 ‘서버 증명서’는 사용하는 브라우저의 마크를 더블 클릭 또는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버 증명서’는 SSL / TLS에 의한 암호화 통신 시 접속하는 웹사이트에서 전송되는 것이며, 이를 확인하면 접속하는 웹사이트가 국세조사 온라인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세조사 온라인의 ‘서버 증명서’의 발행자는 ‘DigiCert SHA2 Extended Validation Server CA’입니다.
≪Microsoft Edge를 이용하는 경우≫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 마크를 클릭하면 서버 증명서가 표시됩니다.
≪Firefox를 이용하는 경우≫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 마크를 클릭하면 서버 증명서가 표시됩니다.
≪Google Chrome를 이용하는 경우≫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 마크를 클릭하면 서버 증명서가 표시됩니다.
≪Android(Google Chrome) 를 이용하는 경우≫
DigiCert사(인증국)는 ‘서버 증명서’ 및 ‘코드 증명서’를 발행하는 인증국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DigiCert사(인증국)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국세조사 온라인에서는 DigiCert사(인증국)에서 발행된 ‘서버 증명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서버 증명서’가 신뢰할 수 있는 인증국으로부터 발행되었는지를 확인하려면 ‘서버 증명서’를 발행한 인증국의 본인 서명 증명서(안전한 통신을 위한 증명서)가 브라우저에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국세조사 온라인에서는 DigiCert사에서 발행된 ‘서버 증명서’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DigiCert사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증명서’를 브라우저에 등록할 필요는 없습니다.
(DigiCert사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증명서’는 사용하는 브라우저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통계조사와 관련된 조사표 정보에 대해서는 통계조사를 실시하는 국가의 행정 기관 및 지방공공단체가 이들을 적정히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고 통계법(헤이세이 19년(2007년) 법률 제53호)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회답하신 데이터에 대해서도 이 규정에 의거하여 적정히 관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통신의 암호화’, ‘서버 등의 관리’, ‘국세조사 온라인’, ‘국세조사 담당 직원의 인증’의 각 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회답을 전송하는 컴퓨터와 태블릿 단말기 등의 기기에서부터 본 시스템까지의 통신은 모두 암호화되어 있습니다.
본 시스템의 서버 등은 엄중히 관리된 데이터 센터에 설치하여 부정 액세스 방지 대책을 24시간 실시하고 있습니다.
회답하신 데이터는 본 시스템의 서버에 등록할 때 암호화되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회답자 본인이더라도 인터넷을 통해 취득 및 열람할 수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한, 총무성 통계국이 집계 처리를 위해 데이터를 취득한 후에는 복원이 불가능하도록 서버상에서 완전히 삭제됩니다.
회답하신 데이터는 국세조사 담당 직원에게만 접속이 허용됩니다.
직원이 본 시스템에 접속하려면 직원 전용 ID와 비밀번호를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허용된 직원인지 아닌지는 직원 전용 ID와 비밀번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세조사를 비롯해 통계법에 근거하여 실시되는 통계조사에서 수집되는 개인 정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해 개인정보보호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QR 코드는 ㈜덴소웨이브의 등록 상표입니다.
각 링크를 누르면 구체적인 예가 표시됩니다.